Page 4 - 하우인 2022년 4월호 - (주)하우엔지니어링 웹진
P. 4

2022  APRIL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의 정치의 제일 목표는 백성들의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삶의  질을  개선하기  보다는  세습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반들에 의한 항구적인 체제 안정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었던  것이다.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 교역시대의  중심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은  성곽  시대에는  한가한  어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촌에  지나지  않을  뿐  별로  존재감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 없었다 삼포개항(1426)            이래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본과의 교역 임진왜란 이후 초량
             ▲   그림2.  1903   부산항  지도 경부선철도(1904)    개통  전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(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왜관의  개설(1678)      이  있었지만  농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(
            이 착평공사로  사라졌고 이때  나온  버럭 흙과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시대를 교역시대로 전환하기에는 여전히 역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돌 으로 매립한 땅으로 새마당이 조성되고 부산
              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’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‘
            역  부지가  되었다.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족이었다 결정적인  계기는  근대  개항 으로  불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리는  부산포  개항(1876)       이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론 부산포 개항은 절로 이뤄진 게 아니다 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동래 성곽시대의  중심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뿌리는 길게는 삼포왜관(1426)             개항 이후 무려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0 여 년 유지된 왜관 초량왜관 시대 포함 이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(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)
               동래부는 동래읍성이 행정치소였고 동래부사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수령이었다 성곽시대는  곧  자급자족  농경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 할  수  있다 부산항이  활성화되고  경부선  철도
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이기도  하다 조세는  농사에서  거둔  농작물 즉                       (1904) 가 개통됨으로써 도시의 중심은 동래에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산으로  옮겨갔던  것이다.
            조세미가  주종이었다.  ‘         농자천하지대본(農者天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下之大本     )’ 이란  말이  있듯이 농사가  잘  되어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래의  다리 부산의  교량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백성들의 삶이  평안했다 지방수령의  책무인 수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*)
            령칠사(首領七事           중에서도  제일의  책무가  농
                            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川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상성(農桑盛      ) 으로  농사와  양잠(養蠶        ) 에  힘쓰는          강은  배가  다닐  수  있어야  강이다 시내( )            는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개 강의 지류를 말한다 수심이 얕은 시냇물에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일이었다 또한  사농공상(士農工商                ) 이라는  신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는 징검다리 또는  섶다리가  대부분이었다 섶
            적 위계를 중시하여 상업을 천시했다 즉 조선시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리는  나무다리로써  하천  바닥에  나무말뚝을

            *) 수령칠사는  농상성(農桑盛       )· 호구증(戶口增  )· 학교흥(學       박은  뒤  말뚝  상부에  들보를  얹듯  얽어맨  뒤에
               校興 )· 군정수(軍政修   )    부역균(賦役均    )· 사송간(詞訟
               簡 )· 간활식(奸猾息   ) 이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 4  -
   1   2   3   4   5   6   7   8   9